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정선군은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며, 행정 효율성과 군민 안전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행정 실현에도 한 걸음 더 다가서고 있다.
이 사업은 2021년부터 시작 돼 올해 마무리될 예정으로, 총 24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사업대상지는 신동읍, 남면, 화암면 일대로, 해당 지역의 도로 및 상·하수도 등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밀 조사 및 탐사, 그리고 위치 및 속성 정보의 전산화가 주요 내용이다.
정선군은 이 사업을 통해 수집·구축된 자료를 건설, 상하수도, 재난안전 등 관련 실무 부서에 20건 이상을 제공했으며, 이는 굴착 공사 협의 시 관련 부서 간의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과거에는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민원 처리나 공사 과정에서 작업 지연과 시설물 훼손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했지만, 이번 전산화 사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됐고, 시설물 훼손으로 인한 2차 사고의 위험도 크게 줄었다.
또한, 구축된 시스템을 통해 여러 부서 간 자료 공유가 가능해짐에 따라, 행정업무의 효율성은 물론 협업 체계도 한층 강화됐다.
이승환 민원과장은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은 군민의 안전과 행정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행정 구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선군은 이번 사업이 진행된 신동읍, 남면, 화암면 외에도, 추후 타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군 전역의 지하시설물 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더욱 촘촘하고 안전한 도시 기반을 구축해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