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이존영 기자 | 최근 반도체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첨단기술의 바탕을 이루며, 현대사회 기술 혁신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정부는 이러한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 발전을 이끄는 생태계 조성에 힘써 왔다.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산업이자 국가안보 자산인 반도체 산업을 세계시장 선도 분야로 성장시키기 위해 추진된 것이 바로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이다.
경상국립대학교(GNU)는 동남권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와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선도하는 거점대학으로, 2024년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총괄사업단장 강석근 IT공과대학장)에 선정됐다. 4년간 총 303억 원 이상의 사업비를 확보하고, 주관대학으로서 국립부경대와 동반성장형 사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극한 환경 반도체 패키징 분야 전문인력 양성과 공급을 통해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밝히고 있다.
강석근 ULTRA 반도체 특성화대학 사업단장을 만나 반도체 산업의 현재와 미래, 경상국립대의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질문] 4차 산업혁명, 왜 반도체가 핵심인가?
[강석근 단장] AI, IoT,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최첨단 기술 집약체를 구현하는 핵심 부품이 반도체이다. 특히, 미래 첨단산업에 대한 국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반도체 관련 기술 개발과 저변 확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정부도 반도체 소재와 설계, 패키징 분야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며 관련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질문] 경상국립대학교가 주목받는 이유는?
[강석근 단장] 경상국립대는 2024년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주관대학에 선정되어 국립부경대와 함께 극한 환경 반도체 패키징 분야 전문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다. 특히, 경상국립대 반도체공학과는 동남권에서 가장 오래된 반도체 관련 학과이고 많은 졸업생이 삼성전자,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도쿄일렉트론(TEL) 등에 근무하고 있다.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4년, 총 303억 원)을 통해 지역전략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패키징 및 테스트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동남권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선도하고 있다.
[질문] 극한 환경에서도 견디는 반도체 기술이란?
[강석근 단장] 반도체 패키징은 웨이퍼 형태의 반도체를 전자기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기술이다. ‘극한 환경 반도체 패키징’은 우주·항공, 방산, 조선·해양, 원전, 미래형 자동차 등 고온, 고압, 고전압, 고방사선 등 극한 환경에서도 반도체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신뢰성과 성능을 확보하는 첨단기술이다.
[질문] 사업단 명칭에 나오는 ‘ULTRA’는 무슨 뜻인가?
[강석근 단장] ‘ULTRA’는 Universal & Global talent(글로벌 다학제 인재), Leadership(선도형 인재), Technical expertise(반도체 기술 전문 인재), Regional & Local talent(지역 산업 수요 맞춤형 인재), Adventure spirit(도전형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뜻의 영어 첫 글자를 따온 것으로 우리 반도체특성화 사업단이 추구하는 인재상이다.
[질문] ULTRA, 미래형 인재를 어떻게 키우나?
[강석근 단장] ULTRA 반도체 특성화대학 사업단은 첨단 장비를 갖춘 교육 인프라와 산업체가 요구하는 혁신적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산학협력 중심의 실무형 교육을 제공한다. 한화세미텍, 해성DS, 제엠제코 등 지역에 소재한 산업체와 협력하여 기업협업 교과과정 운영, 현장실습 및 인턴십 기회 제공, 국립부경대와 공동·복수학위제를 운영하는 등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질문] 지역 산업을 움직이는 ULTRA의 힘은?
[강석근 단장] 경상국립대는 동남권의 우주·항공, 방산, 조선·해양, 원전, 미래교통 등 전략산업 분야 경쟁력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시 현장 투입이 가능한 반도체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지역의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앞으로는 국내 유일의 우주항공 분야 글로컬사업단과 협업함으로써 지역 전략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자 한다.
[질문] 세계로 향하는 ULTRA 글로벌 전략은?
[강석근 단장] 경상국립대는 글로벌 리더 양성을 목표로 해외 유수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해외 연수, 국제 학술대회 참가 기회를 제공하여 글로벌 역량을 갖춘 반도체 전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질문] ULTRA가 그리는 반도체 인재의 미래는?
[강석근 단장] ULTRA 사업단은 경상국립대 글로컬사업단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과 국가를 넘어 세계적인 반도체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산업 현장의 요구를 꾸준히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지속 가능한 교육 및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여 학생들의 꿈이 이루어지는 교육을 실천함으로써 전 세계에서 인정받는 초일류 기술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다.
경상국립대학교는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을 통해 극한 환경을 견디는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기술과 이를 이끌어갈 차세대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과 국가를 넘어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 대학으로 도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