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기자 | 경상남도교육청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업무를 하나로 통합하는 유보통합 정책을 추진하면서, 시군 단위에서 함께 협력할 수 있는 ‘유보통합 지역협의체’를 본격적으로 구성․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지역협의체는 기존 경남교육청-경남도청의 협력을 넘어 교육지원청과 시·군청이 함께 참여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행정 업무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혼란을 줄이고, 지역 상황에 맞는 정책을 함께 만들어가기 위한 협력 체계다.
도내 18개 지역별로 교육지원청과 시·군청의 업무 담당자가 ‘유보통합 지역협의체’를 구성해 활동한다.
각 협의체는 보육·교육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논의와 정보 공유를 통해 지역 중심의 유보통합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
경남교육청은 지난 7월 교육지원청에 배치된 유보통합 사전 준비 인력을 중심으로, 지역의 특성과 행정 여건을 고려한 ‘유보통합 지역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들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과 예산을 분석하고, 시군의 보육 행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류 활동을 펼친다.
또한 보육업무를 교육청으로 넘기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혼란을 줄이기 위해, 실무 지침서와 ‘보육업무 이관 길라잡이’ 개발도 지원할 예정이다.
경남교육청은 협의체가 잘 구성될 수 있도록 지난 8일부터 30일까지 3주 동안 교육지원청과 함께 도내 시·군청을 직접 방문해, 지역 상황에 맞는 협의체 운영 방식과 정보 공유 방법, 시범 사업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하며 현장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김영이 유보통합추진단장은 “시군 단위 지역협의체는 보육업무 이관을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데 꼭 필요한 기반”이라며, “현장의 걱정을 세심하게 살피고 교육지원청, 시·군청, 유치원과 어린이집 관계자들과 계속 소통하면서 경남에 맞는 ‘경남형 유보통합 모델’을 만들어 정책을 믿고 잘 실행할 수 있게 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