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살기 좋은 공동체 조성과 관련한 모범 사례를 평가하는 '2025 리브컴 어워즈(LivCom Awards)'에서 부산의 15분도시 정책이 '도시 종합(Whole City)' 부문 금상(Gold Award)과 심사기준 중 '지속 가능한 계획 및 관리 정책' 부문 기준상(Criteria Award)을 수상하며 2관왕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유엔환경계획(UNEP)의 공인을 받아 올해로 23회를 맞은 '리브컴 어워즈(LivCom Awards)'는 1997년에 시작된 세계적인 국제대회로,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있어 세계 각국의 도시와 지방정부가 추진한 우수정책을 평가하는 대회다.
올해 대회는 전 세계 52개국에서 281개의 신청서를 제출하여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이 가운데 30개 도시와 37개 프로젝트가 본선에 올랐다.
최종 본선은 '지속가능한 도시 문화 혁신'을 주제로,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현지시각 11월 18일 저녁 6시 개회식을 시작으로 11월 21일까지 열렸다.
국제도시계획가협회(ISOCARP), 유엔지역개발센터(UNCRD) 등 다양한 국제기구와의 공동주관으로 열렸다.
개회식에 연사로 나선 앤젤라 케인(Angela Kane) 리브컴 위원장(전 유엔 사무차장)을 비롯해, 유엔 관계자 등 주요 인사들은 현대 도시의 위기를 언급하며 그 극복을 위한 회복탄력성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했다.
시는 '도시 종합' 부문의 이(E) 카테고리(인구 100만 명 초과) 본선에 올라 ▲오스트리아 빈 ▲브라질 상파울루 ▲중국 바오딩 등 유명 도시와 경쟁했으며, 21일 열린 시상식에서 금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특히, 6가지 심사기준 중 ‘지속 가능한 계획 및 관리 정책’ 부문에서, 15분도시 정책을 바탕으로 도시의 총괄적인 계획·관리 체계를 구축한 점이 본선에 진출 30개 도시 중 최고점을 받아 기준상(Criteria Award) 역시 수상하며 2관왕을 달성했다.
시는 현지시각 11월 20일 오전 8시 30분에 진행된 본선 발표에서 '지속 가능한 도시 문화 혁신'과 관련해, 내 집 가까이 따뜻한 이웃과 좋은 문화를 나누는 부산형 15분도시 혁신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15분도시 정책을 활용한 개발 위주의 문화에서 시민 중심의 문화로의 변화와, 자동차 및 건물 중심의 문화에서 사람과 보행 중심의 문화로의 변화를 발표했다.
또한 ▲도보 기반의 행복한 공동체 구현을 위한 ‘15분도시 해피챌린지 사업’ ▲부산의 역사와 함께한 미군 부대를 시민의 공간으로 돌려준 ‘부산시민공원’ ▲와이어 폐공장을 문화공장으로 조성한 ‘에프(F)1963’ ▲환경보호와 노인 일자리를 함께 해결한 ‘우리동네 이에스지(ESG) 센터’ 등의 사업을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우수사례로 소개했다.
이번 발표에 대해 심사위원단은 시가 추진하고 있는 지속가능성 기반의 사업들과 신노년 세대를 대상으로 한 참신한 정책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심사위원단은 “부산의 15분도시는 지속가능성을 시민의 일상과 연결한 실질적이고 창의적인 모델로, 다른 도시들이 참고할 만한 모범적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수상은 부산형 15분도시가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은 쾌거로,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 부산이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섰다는 의미”라며, “앞으로도 '15분도시 부산'을 통해 국제사회와 우수사례를 나누며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을 확산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