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김지은 기자 | 오늘의 미술상황은 기존에 해왔던 시각상의 논리의 감수성과 사고를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세계평화미술대전조직위원회(홈페이지 http://www.wpae.co.kr 이러한 논리는 미술에서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모든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회학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오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세계관의 대두를 의미하며 문명과 문화에 대한 근원적인 입장에서의 관점에서 전환을 뜻하고 있다. 현재 미술계는 그동안의 국내를 벗어나 세계속의 K ART를 향하여 변하여 더 도약하려고 하고 있으며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동안 다양성과 다변화를 주도하고 선도해 온 세계평화미술대전이 올해 새로운 집행부를 구성하여 서로 공존하며, 이 시대의 의미 있는 다양성 들을 추구하고 있는 우수한 작가들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박철규 운영위원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과 큰 울림으로 올해 세계평화미술대전을 함께 만들어나갈 것이라며 창작의 열정과 작품으로 함께 꿈을 펼쳐나갈 작가들과 한국미술을 이끌어 갈 준비가 되어 있으며, 한국 미술시장의 중심에 서서, 한국 미술인 동시대 세계 문화 속에서 어떻게 어우러지고 성장해야
시민행정신문 이정하 기자 | 민화民畵는 우리 민족의 생활과 정신이 깃들어 있는 그림으로 민족회화民族繪畵라고도 하는 민화 작가 청하 노용식 화백을 인사동에서 만나다. 역사적으로 볼 때 민화는 신석기시대 암벽에 그려진 동물 그림이나 고구려 고분 벽화의 사신도四神圖, 또는 해·구름·바위·산·영지에 등의 장생長生圖와 수렵도에서 확인되듯이 우리 민족의 시작과 함께 하나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 미술계의 새로운 변화와 미래의 희망을 위해 4만 미술인과 동행하고 있는 민화는 우리의 옛 선인들 그 중에서도 특히 일반 서민들의 일상생활에 녹아있는 갖가지 민간서화와 고사 무속신앙 등을 소재로 전통 회화를 모방해 소박하고 해학적으로 그려낸 생활미술이다. 민화는 도교와 불교, 유교의 종교적 요소를 담아 정신적인 안정과 소망을 담기도 하고, 산수화와 영물화, 풍속화와 같이 장식적 성격을 가지며 민족의 익살과 사랑의 멋을 표현하기도 한다. 비록 전통 순수회화의 범주에서는 벗어나 천시되어왔던 무명씨의 그림들이지만 그 그림들을 통해 우리 민족의 창의성과 시대상을 엿볼 수 있고 당시 서민들의 생활감정과 미의식을 느낄 수 있어 최근 들어 더욱이 귀중한 전통 문화유산으로 대접받고 있
시민행정신문 김지은 기자 |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미술 컬렉터의 프라이빗한 공간 ‘드롭닷(DROPDOT)’이 퍼블릭 스페이스로서 행보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원 오브 뎀(One of Them)이 아닌 미술품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공간을 만들고, 희소성 있는 미술품에 투자하고 싶다면 정답은 ‘드롭닷’입니다. 드롭닷은 고객 취향에 맞춰 작품을 소개하는 일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실제로 그랬다. 고백하건대, 소문으로만 듣던 드롭닷 안으로 들어선 순간 눈을 어디에 둬야 할지 몰랐다. 국제적으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헤르난 바스 (Hernan Bas)의 작품, 예술성과 경제성을 갖췄다고 평가받는, 그러나 해외 옥션 뉴스에서나 접할 수 있어 현실감이 없던 로비 드위 안토노(Roby Dwi Antono)의 회화, 샤를로트 페리앙(Charlotte Perriand)과 입 코포드 라르센 (Ib Kofod Larsen) 가구 등이 드롭닷에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24/7 동 안 눈과 귀를 열고 있어요. 낮에는 국내 거래처나 컬렉터와 일하고, 저녁에는 해외 사람들과 경쟁해요. 글로벌한 작품을 만나려면 민감하고 예민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 작품이 제 가족이 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