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전통적 미감과 현대미술의 다층성이 만나는 일상적 예술 공간 M·H갤러리(대표 김규리)는 12월 3일 까지 안산환경미술협회 대표 작가 33인을 초대한 ‘홍도를 품다展’을 열었다. 이번 전시는 전통적 예술 정신과 현대미술의 다원적 표현 방식을 생활 속 공간에서 조우시키며, 예술의 공공성과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는 의미 있는 시도다. 안산환경미술협회는 순수한 창작 의지를 기반으로 활동해온 지역 예술가들의 공동체로, 생업과 창작을 병행하는 작가들이 중심이 되어 있다. 이들의 창작 태도는 예술을 일상과 분리된 영역으로 두지 않고, 삶의 경험 속에서 스스로 확장시키는 현대미술의 ‘생활 기반성(art grounded in life)’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안산환경미술협회 심현숙 회장은 “상업시설이라는 열린 장소에서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예술을 경험함으로써 현대예술의 문턱이 낮아지고, 예술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전시의 ‘홍도를 품다’는 김홍도의 유산을 단순히 기리는 차원을 넘어, 그가 지녔던 관찰의 감각과 일상의 순간 속에서 예술적 의미를 포착하는 태도를 현대적 방식으로 재해석하려는 의지를 반영하고 있으며, 작가들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형태를 이루기 전 생명은 어떤 질료이고 어떤 형상일까”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만물의 정신성과 그것이 색과 형태로 드러나는 과정을 회화로 표현해 내는 문경재 개인전 《시지각 이전 視知覺 以前》전시가 갤러리 은(서울종로구인사동길45-1)에서 11월 24일 까지 열리고 있다. 복합적이면서도 원형적 감성과 정신을 추상적 표현으로 오늘의 현대인들의 정신과 대칭적으로 대비하여 재현하고 우주의 생성과 창조, 우리의 생명과 문화가 우주의 창생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사유를 담아내고 있다. 작품속에서 해학적 웃음과 긍정의 비전으로 표현하면서 밝고 긍정적인 에너지의 표출로서 자신의 이미지가 갖는 정신적 균형과 영적 건강성을 회복하는 것을 살펴 볼 수가 있다. 문경재 작가는 회화를 혼의 투영이자 내공의 결정체로 바라보며, ‘대교약졸(大巧若拙)’의 태도로 꾸밈을 덜고 천진함을 담아낸다. 비움과 충만함 사이에서 생명의 숨결과 생각의 흔적을 표현하며, 작품과 관람객의 교차되는 시선 속에서 순간적 사유와 공감을 만들어내고 있다. 문경 재 MOON GYEONG JAE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학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철학 석사. 개인전 9회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긋기와 찍기, 오려내기와 덧붙이기의 반복 속에서 생성되는 시간의 흔적을 표현하는 이민경 초대전 겹의 흔적과 시간 – 소멸과 생성의 긋기 드로잉과 찍어 낸 판화전이 아트스페이스 네오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895)에서 11월 22일 까지 열리고 있다. 작가는 목판화의 이미지를 오려내고 그 조각들을 겹치고 가리며 하나의 화면을 구성한다. 오려진 판화이미지 조각은 하나의 화면 위에서 서로 가리고, 드러내며, 겹쳐진 시간의 흔적을 만든다. 한 번에 찍힌 판화의 이미지는 판의 진실을 보여주고 오려저 겹쳐진 판화의 이미자는 진실을 가리는 기억의 시간을 보여준다. 반복과 변형속에서 새로운 진실을 보여 주려한다. 겹처진 종이의 겹. 오려낸 종이의 중첩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시간과 공간의 흔적을 만들어 낸다. 작가의 ‘겹’은 단순한 물리적 중첩을 넘어선다. 그것은 존재의 층위를 드러내는 시간의 층위이며, 반복된 행위 속에서 응축된 내면의 흔적이다. 작가의 화면에서 긋기의 행위는 하나의 수행처럼 보인다. 그것은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한 리드미컬한 호흡이며, 존재의 불확실성을 마주하는 의식의 몸짓이다. 찍기와 긋기, 오리기와 붙이기의 반복은 끊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가느다란 선에서 상상적이며 직관적인 내면을 들여다보며, 순간적인 몰입을 통해 빛에서 선으로, 그리고 감각으로 치유와 회복, 자유함을 독특한 미학의 언어로 풀어내는 박제경작가의 <U-Topos : PRISM—빛에서 선으로, 다시 감각으로>” 전시가 갤러리 이즈(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2-1)에서 11월 17일 까지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15여 년간 이어온 대표 연작 ‘U-Topos’를 바탕으로, 선과 색채의 밀도와 감정의 울림으로 표현한 신작 18점 포함한 31점의 작품과 24점의 드로잉 총 55점이 전시되고 있다. 작가는 프리즘을 통해 빛이 분해되듯, 지향과 방황 사이에서 굴절되는 감정의 스펙트럼을 회화로 기록한다. 작가는 “가느다란 선에서 상상적·직관적 내면을 들여다보고, 그 위에 감정의 색을 쌓아 또 하나의 세계를 만든다”고 밝혔다. 유토포스(U-Topos)는 그리스어‘U’(없다)와 ‘topos’(장소)의 합성어로 ‘어디에도 없는 땅’즉,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유토피아의 세계이다. ‘U-Topos’ 시리즈에서 몽환적으로 연출되고 있는 다채로운 색채는 화가만의 독특성으로 팔레트의 색들을 섞지 않고 본연의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APEC 2025 KOREA 공식전시 『조화의 유산, 한국의 예술 — 빛과 철, 그리고 미래의 대화 (Harmonious Legacy: ART OF KOREA)』가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APEC 정상회담장인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와 경주 KTX 역사 일대에서 성대히 개최됐다. 이번 전시는 ‘지속가능한 내일: 연결(Connect) · 혁신(Innovate) · 번영(Prosper)’이라는 APEC 2025 KOREA의 비전을 예술로 구체화한 상징적 국제전으로, 포스코스틸리온의 스틸아트(PosART)와 세계적 미디어아티스트 이이남 작가의 미디어아트가 결합해 완성됐다. 총괄기획은 갤러리미호 최영미 대표가 맡았으며, 경주 전역이 ‘예술외교의 도시’로 빛난 상징적인 순간이었다. ■ 경주, ‘예술외교의 도시’로 빛나다 이번 전시는 APEC 정상회의가 열린 화백컨벤션센터를 중심으로, 경주 KTX 역사 일대까지 확장된 도심형 전시로 진행되었다. 고대 신라의 유산 위에 AI, 철, 빛이 어우러진 이번 전시는 ‘전통과 첨단이 공존하는 한국 예술의 정수’를 세계에 보여주었다. 21개국 정상들은 물론 IMF 크리스탈리나 게오르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기계 부품이나 태엽 시계의 톱니바퀴를 상상력의 동력원으로 표현하거나 새와 물고기를 유쾌한 인물들과 함께 자유로이 여행하는 모습을 독특한 미학의 언어로 표현하고 있는 김종일 개인전, '상상 타이머’ 전시가 인사아트센터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1-1) 3층 G&J 갤러리에서 11월 17일까지 전시가 되고 있다. 작가는 자신이 상상한 세계를 작품 속에 담아내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직접 깎고 다듬은 나무 조각들에 색을 입히거나 그 위에 그림을 그려 다시 캔버스 화면 위에 붙이면서 상상 속 장면들을 작품으로 구현한다. 작가는 상상 속에서 하늘 위를 떠 다니듯 형상들을 캔버스 화면 위에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은 상상 속에는 상반된 것들이 공존한다. 물고기와 새가 한 몸이 되고, 음악과 미술이 혼성되고, 낮과 밤이 한 장면 안에 펼쳐진다.이것은 상상이기에 가능한 유쾌한 전복이며, 다름과 다름이 만나는 지점에서 새로운 의미가 솟아난다. 이것은 창조의 출발점이 된다.작가의 작품은 기억을 재생하는 기계처럼 기억을 재생하고, 감정을 조립하는 기계장치처럼 작동한다. 종이에 선을 긋는 대신 나무를 자르고, 겹치고, 이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숨을 쉬는 그림, 그 대상들이 주는 더 미세한 호흡으로 한국 구상화단에 뚜렷한 족적을 남겨온 사실주의(Realism) 화가 구자승(b.1941)작가의 초대개인전이 선화랑(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길8)에서 11월 25일까지 전시되고 있다. 선화랑은 1983년 갤러리와의 첫 전시 통해 인연을 맺은 이래, 그의 기념비적인 전시로, 이번 전시에서는 정물화, 인물화, 드로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작품 총 50여점이 출품되며, 특히 일상 속 사물을 주제로 한 정물화에 집중했던 그의 예술 세계를 선보인다. 절제된 구성과 구도, 소재의 집중화, 동양화의 여백 개념에 근거한 독특한 비움의 표현은 작가만의 시그니처로, 배경 없는 정물, 맑고 현대적인 색감, 이지적인 배치, 절제된 표현으로 구자승의 작품은 아주 현대적이다. 작가는 풍경, 정물, 인물 등 모든 대상을 화면에 담지만, 특히 그의 꽃 그림은 따뜻한 사색에 잠기게 하는 매력과 감성적 서정미를 지닌다. 프랑스 미술 비평가 호제뷰이어는 “구자승의 그림은 한 폭의 추상화를 보는 것 같은 감상을 불러일으킨다”며 극찬했다. 정물의 형식을 통해 존재와 시간의 본질을 탐구해온 사실주의 회화의 거장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흥’과 ‘정’의 공존, 그리고 전통과 현대의 ‘화(和)’를 주제를 내면의 서정과 관계, 기억들의 서사를 자신만의 미학적인 언어로 표현하고 있는 박소은 개인전 <흥정: 높은 흥, 깊은 정> 전시가 서울 인사동 갤러리인사아트(1F,B1)에서 11월 10일까지 전시 되고 있다. 우리의 정서 속에는 언제나 ‘흥(興)’과 ‘정(情)’이 공존해왔다. ‘흥’은 생의 에너지이자 내면의 리듬, 존재를 움직이게 하는 예술적 감흥의 원동력이다. 반면 ‘정’은 그 에너지가 머물며 관계와 기억 속에 스며드는 감정의 결이며, 공동체적 유대의 정서적 언어이다. 작품 속의 ‘흥’은 생명력과 운동성의 언어로, 한국인의 몸과 리듬, 축제의 감각을 시각화한다. ‘정’은 내면의 서정, 관계와 기억의 감성을 세밀한 색감과 시선으로 담아낸다. 채색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감정의 진동을 색의 농담과 결 속에서 시간과 감정, 기억이 겹겹이 쌓인 중첩의 산물이다. 이는 현대의 감각과 색채를 결합함으로써 과거의 미감이 오늘의 정서로 다시 살아나는 순간을 만들어낸다. ‘흥’의 화면에서 느껴지는 생의 진동과 색의 리듬, ‘정’의 화면에서 스며드는 서정과 정지된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겉과 속이 다른 인간의 본능, 즉 ‘인간의 군상’을 기묘한 형태의 동물로 표현한 작품들로 주목을 받고 있는 장승필 개인전 《기묘한 군상》전시가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갤러리은(Gallery Eun)에서 11월 10일까지 열리고 있다. 작품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흰 곰은 작가 자신이자 관찰자로, 세상을 한걸음 떨어져 바라보며 공존하는 감정의 순간들을 포착한다. 귀여운 겉모습 속에 인간의 다양한 감정과 상황을 담아내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귀여움과 기묘함이 교차하는 일상의 단면을 표현한다. 작가는 아이소메트릭 아트, 아크릴 회화, 믹스미디어 기반의 2D 작업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는 작가는 인간의 군상을 기묘한 동물의 세계로 기록을 허고 있다. 인간 내면의 여러 가지 모습들을 내면의 은유로 표현하여, 세상속 다양한 세계를 담아내며 대중적이고 유희작인 작품을 통하여 작가만의 감정과 시선을 따라 작품을 표현하는 작품들을 선 보이고 있다. 장승필 중앙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졸업 현제 에스피디자인 스튜디오 대표 전: 중앙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강사, 넷마블 아트디렉터 및 컨셉 아티스트, 라인 아트디렉터 및 컨셉 아티스트
시민행정신문 전득준 기자 | 수묵으로 순간의 생명력을 포착하여 희망과 용기, 극복의 의미를 담아내는 ‘수묵크로키’로 국내외에서 주목받아온 석창우 화백의 47번째 개인전이 인사동 갤러리 아리수(서울 인사동11길 13)에서 11월 11일까지 전시되고 있다. 몸이 그린 건, 믿음이 만든 리듬으로 색으로 확장된 생명의 회화를 펼쳐 보이는 이번 전시는 1층 전시장에서는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의 신작들을 선보이며, 지하 1층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작업했던 작품들을 전시하여, 그의 예술 여정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미술사 박사인 김윤섭 평론가는 이번 전시를 “침묵을 일깨우는 정중동의 크로키 미학”이라 명명하며, 석 화백의 선(線)을 “삶의 울림을 깨우는 기도”로 해석했다. 서예와 크로키를 결합한 ‘석창우식 수묵크로키’는 전통과 현대, 신앙과 예술이 교차하는 독창적 화풍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회화가 아니라, 믿음과 생명의 선율을 담은 기도다. 2019년 유럽 순례길에서 만난 꽃 축제는 그의 먹빛 세계에 색채의 숨결을 불어넣었고,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는 ‘치유의 회화’로 세상에 희망을 줄 수 있는 작품을 했다. 그의 크로키 퍼포먼스는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