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IT/과학

과기정통부,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매체(미디어) 표준 경쟁 본격화

다중매체 부호화(멀티미디어부호화, ISO/IEC JTC 1/SC 29 국제회의에서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매체(미디어) 표준 개발 공식화

 

시민행정신문 이존영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6월 26일부터 7월 6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47차 ‘다중매체 부호화(멀티미디어부호화, ISO/IEC JTC 1/SC 29)’ 국제표준화회의에서 우리나라는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영상 압축/해제(비디오 코덱) 기술 관련하여 130여 건의 기고서를 제출하는 등 표준화 논의를 주도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국립전파연구원이 주최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주관했으며, 우리나라의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를 포함하여 애플, 화웨이, 노키아, 퀄컴 등 세계적 정보통신 대기업(글로벌 빅테크) 30여 개국에서 60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차세대 기술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의 서막을 열었다.

 

또한, 화면(비주얼) 품질 평가 자문그룹(AG 5, MPEG Visual quality assessment)의 사전 기술 평가 결과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 적용이 기존 방식을 뛰어넘는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이 증명되어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차세대 영상 압축/해제(비디오 코덱) ▲인공지능 영상분석에 최적화된 영상(비디오) 압축 ▲인공지능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압축 ▲실감형 가상세계 구현을 위한 가우시안 스플래팅(Gaussian Splatting) 등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표준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과거의 압축/해제 기술(코덱)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단순히 영상을 압축했다면, 인공지능 기반의 차세대 압축/해제 기술(코덱)은 데이터로부터 영상의 내용을 이해하여 중요한 정보는 보존하고, 불필요한 정보는 제거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압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2030년 인공지능 압축/해제 기술(코덱)이 상용화되면 개인 측면에서는 8K 초고화질 실시간 재생(스트리밍)과 실감형 가상융합세계(메타버스) 서비스를 더 적은 데이터로 즐길 수 있게 되며, 산업적 측면에서는 자율주행, 지능형 도시(스마트시티), 원격의료 등에 활용되어 인공지능 기반 미래 서비스의 현실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정창림 국립전파연구원장은 ‘인공지능 압축/해제 기술(코덱)이 상용화되면 매체 기술의 대전환기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하고 우리나라가 개발한 기술이 실제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되어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매체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