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김학영 기자 | 전주시가 처리용량 부족에 대비해 추진해 온 재활용품 선별시설을 증설하지 않기로 하면서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됐다.
이는 재활용품 반입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결실과 처리 방법의 다각화 등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 2017년부터 처리용량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합리싸이클링타운 인근에서 추진해 온 선별시설 증설사업을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재활용품 발생량(83톤/일) 대비 종합리싸이클링타운에서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 시설용량(60톤/일) 부족과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응해 시설 증설을 추진해 왔다. 당초 계획은 오는 2027년까지 종합리싸이클링타운 인근 약 3만㎡ 부지에 189억을 투자해 기존 60톤/일 처리용량의 재활용품 선별시설을 130톤/일로 확대하는 것이다.
증설계획 수립 당시에는 전주시 인구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재활용품 반입량 증가가 예상됐다. 또, 외주 처리업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비상시 처리 비용 과다 소요(연간 58억 원 정도) 등의 사유로 시설 증설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됐다.
하지만 당시 예상과는 달리 최근 재활용품 반입량이 기존 일일 83톤에서 70톤으로 감소하고, 도내 재활용 처리업체 증가 등 재활용품 처리 여건 변화 및 사업 장기화로 인한 사업비 증가 등에 따라 사업을 전면 재검토 했다.
그 결과 시는 △인구 감소 및 탄소중립 실천 등에 따른 재활용품 반입량 감소 △도내 처리업체 증가에 따른 비상 대응 여건 확보 및 처리비용 절감 등에 의해 시설 증설 필요성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재활용품의 외주처리량이 감소하고, 입찰판매를 통해 연간 약 5000만 원의 수입이 발생하는 등 변화된 여건도 증설 필요성을 낮췄다. 또, 사업비 증가에 따른 추가 행정절차로 인한 사업 장기화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시는 이러한 변화된 여건과 더불어 예산 낭비 요인을 줄이고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해 증설사업을 중단키로 했다.
이영섭 전주시 자원순환녹지국장은 “재활용품 처리 여건과 정책 변화에 맞춰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재활용품 처리 체계 개선과 안정적인 운영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