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조금동두천 26.6℃
  • 구름많음강릉 31.4℃
  • 구름많음서울 28.8℃
  • 흐림대전 27.0℃
  • 흐림대구 27.7℃
  • 흐림울산 25.4℃
  • 흐림광주 26.7℃
  • 흐림부산 24.6℃
  • 구름많음고창 26.5℃
  • 흐림제주 24.1℃
  • 구름많음강화 22.8℃
  • 구름많음보은 26.5℃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4.9℃
  • 흐림경주시 26.4℃
  • 흐림거제 24.3℃
기상청 제공

창작사진연구회 사진전에 부쳐...

- 존재와 인식 Existence and Perception

시민행정신문 이존영 기자 | 시각적 경험은 미적 대상에 대한 감상과 그에 따른 즐거움에 관한 것입니다.

 

미학적 삶이란 일상생활의 작은 부분에서부터 소소한 관찰과 진정한 관심을 두는 것을 의미하며 우리는 삶의 모든 면에서 미학적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 미학적 태도에 관한 시각적 표현은 미학이라는 용어로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해석, 감상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것 앞에서 우리는 매혹, 경외심. 경이로움, 감탄 등 다양한 감정을 느끼곤 합니다.


대상의 존재를 통한 시각적 경험에는 단순한 미적 인식 이상의 것이 포함됩니다.

 

 

존재와 인식의 일부 형태는 다른 것보다 특정 형태와 모양에 대한 우리 시각 시스템의 자연스러운 선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예술가들은 때때로 의도적으로 지각의 특징적인 강점과 약점을 활용하곤 합니다. 특정 유형의 시각 예술가는 시각 시스템으로부터 최대한의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형태인 사물의 형식적 본질'을 우리에게 제공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미적 인식에 대한 예술가의 태도는 그것이 대상의 존재와 대상의 인식 상호 작용 및 상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는 예술가에게 가장 흥미로운 주제 중 하나일 것입니다.

 

 

서울교대 '창작사진연구회' 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존재의 대상이 시각적 인식의 미학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그리고 시각적 관심의 대상인 존재의 관심을 인식하는 동안 각각의 감정을 어떻게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를 위한 여러 시각적 표현이 시도되었습니다.

 

 

'창작사진연구회' 회원 모두는 존재의 대상을 관찰하는 다양한 접근법과 미적 인식이 발생하는 조건과 이러한 인식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문제를 자신들만의 시각적 태도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회원 개개인은 자신만의 관점으로 일상 속 존재와 자연주의적 존재의 관점을 채택해 미적 인식의 태도를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미적 인식의 행위자가 물리적, 사회 문화적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향상할 수 있는 규범적인 과정으로 공감해 볼 수 있습니다.

 

 

시각적 존재의 인식을 잠재적인 시그널의 징후를 인식하고 시각적으로 평가하는 표현하는 과정으로 간주하는 경우, 미적 인식이 전하는 작은 시그널의 의미는 예술적 감정적으로 가치 있는 과정이고 존재의 미적 인식을 통해 의미 형성은 그 가치와 감성을 동반하게 됩니다.

 

 

일상생활 경험에서 존재의 미적 즐거움과 인식된 아름다움의 가치는 존재의 관심과 미적 인식의 즐거움으로 그 자체를 위해 추구되고 향유되어야 합니다.

 

 

궁극적인 관심보다는 무언가를 인식하는 행위에서 발생하는 즐거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며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예술적 시각과 보는 사람의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 즉, 우리는 우리가 보는 것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세상에 관한 관심을 시각적 인식과 감성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글 /  이찬 [사진매체 편집자]

 

 

PHOTO EXHIBITION 제4회 창작사진연구회 사진전
지도교수 / 하재열
김경규 / 김미숙 / 김희승 / 배명희 / 신보경 / 이문숙 / 이연희 / 인상희 / 임윤상 / 정상우 / 정태진 / 조길연 / 한 현 / 홍태돈
 
창작사진 연구회는 서울교육대학교 평생교육원 사진창작반을 이수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사진연구 모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