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맑음동두천 24.5℃
  • 맑음강릉 22.8℃
  • 맑음서울 24.7℃
  • 흐림대전 24.9℃
  • 흐림대구 27.5℃
  • 흐림울산 26.7℃
  • 흐림광주 23.8℃
  • 부산 23.2℃
  • 흐림고창 23.7℃
  • 흐림제주 26.3℃
  • 맑음강화 22.9℃
  • 흐림보은 24.6℃
  • 흐림금산 24.5℃
  • 흐림강진군 23.9℃
  • 흐림경주시 27.5℃
  • 흐림거제 23.0℃
기상청 제공

경제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 선정 쾌거! 대전 바이오산업 대도약 발판 마련

원촌 첨단바이오메디컬지구 등 4개 지구, 혁신신약 글로벌 클러스터로

 

시민행정신문 이세훈 기자 | 대전시가 11개 지자체와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에 최종 선정됐다.

 

특화단지로 지정된 산업단지는 총 4개 단지 891만㎡(약 270만 평)로 이미 조성된 2개 단지(신동·둔곡, 대덕테크노밸리)와 신규 조성 예정인 2개 단지(탑립·전민, 원촌첨단바이오메디컬지구)이다.

 

특히, 원촌지구는 20일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됨에 따라 다양한 혜택이 예고돼 있어 기업 유치에 청신호가 켜졌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는 산업단지 인프라 지원, 인허가 신속처리 의무화, 사용료・부담금 특례, 세액 공제, 용적률 최대 1.4배 상향, 수출 판로개척, 정부 R·D예산 우선 배정, 예비타당성 조사 특례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진다.

 

대전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바이오 혁신신약 클러스터 도약’을 목표로 대전 특화단지에서 초격차 기술을 갖고 있는 선도기업을 육성해 글로벌 빅파마를 만들어낸다는 전략이다.

 

‘혁신신약’이란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연간 매출액이 1조 원이 넘는 신약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단 1개의 신약도 성공하지 못한 상황으로 국가적 최우선 과제이기도 하다.

 

대전시는 4대 치료제 분야(단백질·유전자·세포·재생치료제)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는 만큼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2032년까지 2개의 혁신신약을 창출하겠다는 확고한 목표를 정부에 제시했다.

 

특화단지로 지정될 경우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알테오젠, 머크 등 총 51개 기업이 9조 원 규모의 시설 및 연구개발 투자를 하겠다고 이미 의향을 밝힌 만큼 신약개발의 꿈이 현실로 실현될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다.

 

4개 지구 특화단지에는 인프라, 인력, 기업, 연구개발 등 혁신자원이 집적될 예정이며‘대전바이오창업원’과‘혁신디지털의과학원’외에 앵커시설인 ‘대전혁신신약 전략지원 운영센터’와 ‘KAIST-Merck 공동신약 R·D연구소’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시는 경제과학부시장을 단장으로 ‘특화단지 추진단’을 구성하고 산·학·연·병이 참여하는‘특화단지 운영위원회’를 자문·심의기구로 설치하는 등 특화단지 운영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대전 혁신신약 특화단지를 기반으로 국가 바이오의약품 밸류체인을 완성하고 첨단전략산업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여 국토의 균형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 부처와 긴밀히 협의하여 연구개발 등 관련 예산을 최대한 끌어낸다는 방침이다.

 

이날 선정 결과를 발표한 장호종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은 “이번 특화단지 선정은 대전시와 KAIST, 대전테크노파크로 구성된 전략사업연구센터의 협업 모범사례”라며 “대전시의 확고한 육성 의지와 혁신신약에 대한 비전이 성공 요인이었다.

 

특화단지 성공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번 특화단지 지정으로 6조 5,586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4만 1,572명의 고용유발효과가 예상된다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