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1.4℃
  • 맑음서울 14.1℃
  • 맑음대전 13.8℃
  • 구름조금대구 12.6℃
  • 흐림울산 11.8℃
  • 구름조금광주 12.3℃
  • 구름조금부산 15.5℃
  • 구름많음고창 12.9℃
  • 구름많음제주 12.6℃
  • 맑음강화 12.0℃
  • 맑음보은 12.1℃
  • 맑음금산 13.5℃
  • 구름많음강진군 13.7℃
  • 구름많음경주시 11.7℃
  • 구름많음거제 12.1℃
기상청 제공

사회

김혁 교수의 논문, ‘출토문헌고문자연구소 20주년 논문집’에 실려

중국 푸단대학에 설치된 고문자 고증학 분야 세계적 저명 연구소

 

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경상국립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김혁 교수가 갑골문을 연구하면서 새롭게 해독한 글자 관련 논문이 중국 푸단대학(复旦大学) 출토문헌고문자연구소(出土文獻與古文字研究中心) 20주년 기념 논문집 《광화향일신(光華向日新)》에 실려 화제가 되고 있다.

 

푸단대학 출토문헌고문자연구소는 2005년에 상하이 푸단대학에 설립됐으며, 현재 중국 고문자 고증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저명한 연구소로 알려져 있다. 출토문헌고문자연구소는 올해 20주년을 맞아 연구소 기념 논문집을 출간했는데, 김혁 교수의 갑골문 해독 논문이 연구소 20주년 기념 논문집에 실린 것이다.

 

김혁 교수의 논문은 '釋殷墟卜辭中所見的“歺+爿”和“歺+疾”'이며, 김혁 교수가 해독한 갑골문은 아래 두 가지 글자이다(사진 3 해독 갑골문 두 가지 글자).

 

이 글자에 대해서는 최초 청나라 저명 고증학자인 왕국유(王國維, 1877~1927)가 葬(매장할 장)으로 해석했다.

 

그 이후 세계적인 갑골문 연구자들은 이에 동의하기도 하고, 두 가지 글자가 서로 다른 글자라 하기도 하며, 여러 의견이 분분하여 명확한 해석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김혁 교수는 관련 갑골문 탁본 자료를 꼼꼼히 살펴보고, 관련 글자들이 들어간 문장의 문법적인 분석과 자형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두 가지 글자가 사실은 동일한 글자의 다른 서사체인 이체자(異體字)에 해당하며, 분명한 의미는 ‘질병에 걸려 죽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死(죽을 사)자로 봐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그 근거 가운데 가장 중요한 신의 한수는 아래 탁본에 나와 있는 글자를 기존의 모든 갑골문 연구자들이 잘못 해석한 것을 김혁 교수가 찾아내 바로잡은 것이다(사진 4. 갑골문 탁본 사진).

 

왼쪽은 실제 갑골문 탁본이고, 오른쪽은 칭화대학(清華大學)의 저명 갑골문 연구가인 황톈수(黃天樹)가 이를 손으로 모사한 것인데, 황 교수는 탁본을 잘못 보고 엉뚱하게 疾(질병 질)자로 잘못 모사했다.

 

탁본의 해당 글자는 황 교수뿐만 아니라 역대로 류자오(劉釗), 차오진옌(曹錦炎) 등 다른 연구가들도 모두 疾(질병 질)자로 잘못 보았다. 왼쪽 실제 탁본의 해당 글자는 김혁 교수가 정확하게 “歺+爿”의 글자로 본 것이, 이 글자를 ‘질병을 원인으로 하여 죽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는 김 교수의 의견이 확실함을 알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근거이다.

 

아래는 김혁 교수의 정확한 판독에 의한 모사이다(사진 5: 김혁 교수의 정확한 판독).

 

김혁 교수는 “이 글자의 새롭고 정확한 해독으로 왕국유의 학설이 잘못됐음을 지적함과 동시에, 해당 글자를 통하여 갑골문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김혁 교수는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甲骨文異體現象研究》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푸단대학 대학원에서 《甲骨文形體的分類與分析》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고문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출토문헌 자료인 갑골문의 자형 분석과 고증을 통한 해석이며, 지속적으로 어려운 고문자를 연구하여 해독하는 중이다.

 

중국 고대문자 관련 강의와 한자 전반에 대한 강의를 운영하고 있다.

 

2012년에 발표한 갑골문 衝(찌를 충)자에 대한 새로운 해독의 논문인 '釋甲骨文中的“衝”'은 한국인 최초로 갑골문의 난자(難字)를 해독한 것으로 중국 고문자 연구의 대가들에 의하여 다수 인용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고대 근동과 중국, 문자와 문헌 전통의 형성》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