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는 자체 생산한 어린 감성돔 36만 마리와 넙치 15만 마리, 총 51만 마리를 내일(27일)부터 6월 5일까지 사하구, 강서구 등 시 연안해역에 방류한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바다의 날(5월 31일)을 맞이해 부산시낚시협회와 사단법인 바다살리기 국민운동 부산 등 민간단체와 함께 수산자원 회복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학생, 주민, 시민단체 등 200여 명이 참가하는 방류 행사를 사하구에서 병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방류되는 어린 감성돔과 넙치는 3월과 4월에 수정란을 확보해 자체 부화시킨 후 80일 이상 키운 것으로, 길이는 6.0센티미터(cm) 이상으로 질병 없이 활력이 넘쳐 바다에서도 잘 성장하는 어종이다.
연구소는 이번 방류 행사가 연안 해안의 어류 자원 회복과 어업인들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감성돔] 내만성 어종으로 수심 50미터(m) 이내, 바닥이 해조류가 있는 모래질이거나 암초 지대인 연안에 서식한다.
1년생의 경우 대부분 수컷이며, 3~4년생은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기도 한다.
감성돔은 자연에서는 50센티미터(cm) 이상 크기로 자라기도 하며 특히,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대표적인 횟감 중 하나로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도움이 되는 고소득 품종이기도 하다.
[넙치] ‘광어’ 또는 ‘넙’이라고도 불리며 60~80센티미터(cm)까지 성장하고 수심 200미터(m)를 넘지 않는 모래나 펄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한국, 일본 등에 분포하고 2~6월 산란기에는 수심 20~40미터(m) 정도의 바닥에 40~50만 개의 알을 낳는다.
찜, 구이, 탕 등의 식재료로 이용되며 대표적인 양식어종으로 저렴하게 접근할 수 있어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횟감이다.
곽일병 시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지난 2009년부터 매년 감성돔과 넙치 방류를 시행해 지금까지 부산 연안에 총 1천350만 마리를 방류했다”라며, “앞으로도 ▲황복 ▲동남참게 ▲꽃게 ▲붉은쏨뱅이 ▲보리새우 등 자체 생산한 다양한 치어 방류를 통해 어업인 소득 증대와 고갈된 연안 자원 회복에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